HOME  >    >  

작은 관심으로 자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도봉구정신건강복지센터가 [자살 예방] 을 도와드립니다.

자살의 이해
  • 자살은 치명적인 결과를 내는 자살적 행위로 다양한 정도의 죽음의 의지를 보여주는 자기위해 행위로 정의(WHO report, 2004)
  • 자살은 장애나 진단명이 아닌 행동 이다. 그리고 모든 행동은 다차원적이며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Silverman et al, 2007)
  • 자살의 정의에 대한 여러 가지 주장 중에 공통적인 핵심요소는 행동의 결과, 행동의 주체, 죽으려는 의도, 결과에 대한 자각이 제시되고 있음(Bille-Brahe, 2006)
  • 즉 자살의 핵심적 구성요소는 자살의도(suicide intent)를 포함하고 있는데 의도란 행동의 목적 또는 목표를 말하는 것. 그러나 자살의도에 대한 자기보고는 당사자에게서도 자주 변할 수 있으며 면담자에 따라 달리 표현되기도 하므로 객관적 평가는 쉽지 않음(Silverman et al, 2007)
  • 자살은 개인에 있어 사회적 상황과 주변의 지지, 정신질환 등 여러 요소의 영향에 따른 복잡한 행동이므로 개인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개별적인 사례관리 서비스는 필수적임
생물학적 이해
  • 자살의 생물학적 혹은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에게 생활사건 또는 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자살 행동이 유발된다. 비관‐절망 그리고 공격‐충동성은 자살의 주요 소인
  • 성별, 종교, 가족력 또는 유전적 요인, 아동기경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요인은 이러한 소인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이들 중 일부요인은 세로토닌, 콜레스테롤 그리고 다른 생물학적 요인과 관련이 있음.
심리학적 이해
초기에는 어느 한 이론만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자살과 관련된 행동이 정신과적 병력, 신경증, 외상적인 삶의 경험, 자살 행동에 대한 유전적 취약 성, 사회문화적인 위험요소와 보호 요소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
인지행동적 이해
인지적인 접근에서는 인지, 정서, 행동의 영역 중에서 자살과 관련된 인지적인 왜곡이나 역기능을 강조하면서 이를 수정한다면 보다 적응적인 방식으로 생활할 수 있음 (Ellis & Ratliff, 1986)
사회적 이해
에밀 뒤르케임은 자신의 저서‘자살(1987)’에서 자살을 하나의 사회적인 현상으로 봄. 개인의 자살은 사회라는 넓은 테두리 안에서 발생하는 경향과 변화의 맥락 에서 고찰해야함. 사회의 통합이 낮으면 이기적인 자살이 유발되고 사회의 통합이 높으면 이타적인 자살이 생긴다고 주장
자살에 대한 허구와 진실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08:72)
허구 진실
자살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 실제 자살 시도를 하지 않는다. 자살자는 경고 사인을 준다.
자살시도자는 절대적으로 죽을 의도를 가지고 있다. 자살에 대해서 대개는 양가적이다.
자살 위기 이후의 회복은 곧 모든 상황의 회복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 자살은 파괴적 생각을 행동으로 옮길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을 때, 즉 회복기때 일어난다.
모든 자살이 예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맞다. 하지만 대다수는 예방 가능하다.
한번 자살사고에 빠지게 되면 항상 그러하다. 자살사고는 다시 올 수 있다. 하지만 영구적인 적은 아니며 어떤 경우에는 다시 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 본 자료의 일부 내용은 서울시정신건강브랜드 ‘블루터치’의 사전승인을 통해 재이용하였습니다.